OSI 7계층과 TCP/IP 4/5계층에서의 클라이언트-서버 연결 과정

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네트워크에서 연결을 만드는 과정에서는 다양한 계층의 프로토콜과 하드웨어가 함께 작동하여, 신뢰성 있고 안전하며 효율적인 통신이 이루어집니다. OSI 7계층과 TCP/IP 4/5계층 각각의 관점에서, 그리고 관련 하드웨어 측면까지 최대한 설명해보겠습니다.

1. OSI 7계층: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어떻게 연결되는가

OSI(Open Systems Interconnection) 모델은 네트워크 동작을 7개의 계층으로 구분합니다. 각 계층은 연결 설정과 데이터 송수신에서 고유의 역할을 합니다.

각 계층에서 연결에 관여하는 역할

요약 (OSI 관점의 연결 과정 흐름)

2. TCP/IP 모델(4계층 또는 5계층)에서의 클라이언트-서버 연결

TCP/IP 모델은 OSI에 비해 좀 더 단순하고 실제 네트워크 구현에 가까운 4계층 또는 5계층 구조를 사용합니다.

TCP/IP 계층 해당하는 OSI 계층 연결에서의 주요 역할
응용 계층 5~7 사용자 앱/프로토콜(HTTP, FTP 등) 처리
전송 계층 4 TCP 핸드셰이크로 신뢰성 있는 연결 설정/관리
인터넷 계층 3 IP 패킷 라우팅 및 주소 지정
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~2 프레임 구조화/물리 송수신, MAC 주소 지정

TCP/IP 연결 과정 세부 설명

3. 연결에 관여하는 주요 하드웨어

클라이언트 측 하드웨어

네트워크 인프라 하드웨어

서버 측 하드웨어

4. 일반적인 TCP/IP 클라이언트-서버 연결 단계별 과정

  1. 클라이언트 응용프로그램이 연결 요청

    • 서버 IP/Port로 연결 요청
  2. DNS 도메인 주소 해석

    • 도메인 입력 시 IP주소 변환
  3. 전송 계층: TCP 3-way 핸드셰이크

    • 클라이언트 → SYN, 서버 → SYN-ACK, 클라이언트 → ACK 순으로 송수신
  4. 데이터링크/물리 계층

    • 데이터가 이더넷 프레임, 신호로 송수신됨
    • 스위치/라우터를 거쳐 서버 도달
  5. 서버가 요청 처리

    • OS가 패킷을 해제, 서버 응용프로그램이 요청 처리
  6. 서버가 응답 송신

    • 서버에서 동일 계층 과정을 통해 데이터 전송
  7. 연결 종료

    • FIN 플래그로 연결 정상 종료 (TCP)

요약 표

계층 연결에서의 주요 역할 관련 하드웨어
물리(1) 신호 전송/수신 NIC, 케이블, 스위치, 라우터
데이터링크(2) 프레임작성, MAC 주소지정 NIC, 스위치, 브리지
네트워크(3) IP주소지정/라우팅 라우터, OS의 IP 계층
전송(4) 연결설정, 데이터신뢰성관리 OS 네트워크 스택, NIC, TCP/UDP 구현
세션(5, OSI only) 세션(대화) 생성, 관리, 종료 OS 소프트웨어, OS 세션 관리, 서버 세션 모듈
표현(6) 포맷 변환, 암호화, 압축 OS 소프트웨어, 암호화 모듈, SSL/TLS 라이브러리
응용(7) 사용자 앱, 네트워크 프로토콜 응용프로그램

즉,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연결을 형성하는 과정은 여러 계층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협업으로 이루어집니다. 신호의 송수신(물리/데이터링크), 주소지정과 라우팅(네트워크), 신뢰성 있는 연결 및 흐름관리(전송), 그리고 실제 데이터 송수신 및 세션관리(상위계층) 과정이 모두 유기적으로 동작합니다.